로고

103차 라운드테이블

기타

기간 : 2022.06.07 ~ 2022.06.07

장소 : 강릉문화작은도서관 2층 ( 강원도 강릉시 임영로 155번길 18 )

연락처 : 033-647-6810

접수처 : https://forms.gle/RGxKfDP2tUcQNWiH9

진행상태 : 종료

이용대상 : 누구나

7e0496f3dcbfc6766868efe0bb48a8e1_1654568928_1358.jpg
 

시나미강릉 라운드테이블 103 마을공동체 미디어! 어떻게 만들어 볼까요? 2004년 2월에 열린 공동체FM 회의에서, 케이프타운의 부시 라디오에서 온 제인 이브러힘의 연설이 끝난 후 청중들에게 질문을 받았다. 한 날쌘 질문자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다. “공동체 라디오에서 공동체는 얼마만큼 차지하고, 라디오는 얼마만큼 차지해야 하나요? 제인은 눈도 끔쩍하지 않고 대답을 해서 몇몇 대표들을 놀라게 만들었다. “공동체 90%, 라디오 10%.” 라디오를 하겠다고 모였는데 정작 라디오의 중요성은 10%밖에 안 된다니 언뜻 의아해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마을미디어, 공동체미디어 활동을 잠깐이라도 해본 사람이라면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방송에 나갈, 신문에 실을 콘텐츠를 만드는 일 자체는 마을미디어 활동에서 그다지 중요한 일이 아닐 수도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구성원들이 토론하고 협의하는 과정, 그를 통해 개인이 성장하고 공동체가 조직화되어 가는 과정이다. -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웹진『마중』- <세상을 바꾸는 마을공동체미디어 - 마을미디어 기본이해> 중 발췌 이미 전국적인 마을공동체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마을미디어지원조례는 25개 지역에서 제정되어(2022년 3월 기준) 시민들의 다양한 미디어 활동이 지원되고 있습니다. 강릉에서도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성화를 위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모아보면 어떨까요? 마을공동체 미디어에 관심 있는 여러분들의 의견을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라운드테이블은 특정 주제를 놓고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는 활동입니다. • 참여인원 15명을 모집합니다. 온라인 신청 및 전화 신청이 가능합니다. • 온라인 신청이 확인되면 참여 신청완료 문자를 전송해 드립니다. • 본 라운드테이블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및 여러 사정에 따라 연기될 수 있습니다.  

(재)강릉문화재단 산하 강릉시문화도시지원 센터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 155번길 18
문의 : 033-647-6810

© 강릉문화재단. All Rights Reserved.